hwp [학습자료] [학습자료] 병태생리학 요약 정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가격 : 7,000원
등록일 : 2016.03.06
페이지 : 55 페이지

소개글

최신 병리학 총론

1. 병리학 서론
2. 세포 손상과 적응
3. 염증과 수복
4. 체액과 혈류 역동학
5. 면역계 질환
6. 신생물(종양)
7. 유전성 질환
8. 감염성 질환
9. 노화와 노인성 질환
10. 환경 병리학 

 

 


목 차

총론

1장 병리학 서론

1. 병리학의 영역
2. 병리학의 분류
3. 질병관의 변천
1) 액체병리학설(humoral pathology)
2) 고체병리학설(solidary pathology)
3) 장기병리학설(organ pathology)
4) 조직병리학설(histopathology)
5) 혈액병리학설(hematopathology)
6) 세포병리학설(celluar pathology)
4. 전자현미경의 발달
5. 임상검사로서의 병리학
1) 생검
2) 수술 중의 신속 조직검사
3) 수술 적출물의 조직검사
4) 세포진검사
5) 부검
6) 조직검사법의 과정
6. 병인론
1) 질병의 원인
2) 질병의 개념

2장 세포손상과 적응

1. 세포
1) 핵(nucleus)
2) 세포질(cytoplasm)
3) 세포주기(cell cycle)
4) 세포주기의 조절
2. 세포손상
1) 세포손상의 원인
2) 세포손상의 과정
3) 세포손상의 기전
4) 저산소증 시 세포손상
5) 자유기와 세포막의 손상 관계
6) 화학적 손상의 기전
7) 바이러스에 의한 손상의 기전
8) 가역적 세포손상
9) 비가역적 세포손상
10) 세포사
3. 세포적응
1) 위축(atrophy)
2) 비대(hypertrophy)
3) 증식(과형성, hyperplasia)
4) 화생(metaplasia)
5) 이형성(형성이상, dysplasia)
6) 변성(degeneration)
4. 전신사
5. 물질 대사이상
1) 단백질 대사이상
2) 당 대사이상
3) 지질 대사이상
4) 요산 대사이상
6.세포손상 시 정자현미경적 변화
1) 용해소체(lysosome)
2) 내형질세망의 비후
3) 사립체의 변화
4) 세포골격의 변화

3장 염증과 수복

1. 염증
1) 염증의 정의
2) 원인
3)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들
4) 염증의 화학적 매개체
5) 염증의 증상 및 징후
6) 염증의 분류
7) 염증 발생 시 삼출물의 의의
2. 치유와 수복
1) 재생(regeneration)
2) 수복(repair)
3) 창상치유(wound healing)
4) 이물질(foreign body)
5) 각종 조직의 재생

4장 체액과 혈류역동학

1. 혈액
1) 혈액의 기능
2) 혈구의 생성과 파괴
2. 출혈
3. 충혈, 허혈, 울혈
1) 충혈(hyperemia)
2) 허혈(ischemia)
3) 울혈(congestion)
4. 혈전과 혈전증
1) 혈전의 종류
2) 혈전의 원인
3) 혈전의 운명
4) 혈액응고(응혈, blood clot)
5) 지혈(hemostasis)
5. 색전증
1) 색전(embolus)
2) 색전증의 종류
6. 경색증
1) 경색의 종류
2) 경색의 결과
3) 경색의 임상적 중요성
4)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7. 쇼크
1)쇼크의 병태 생리적 종류
2) 쇼크의 시기적 구분
8. 부종
1) 부종의 원인
2) 부종의 해부학적 분류
3) 복수의 성상에 따른 분류
9.탈수증

5장 면역계 질환

1. 숙주에 대한 감수성 및 면역
1) 선청성 면역(inherent immunity)
2) 후천성 면역(acquired immunity)
2. 면역계
1) 비특이적 면역
2) 특이적 면역
3. 면역 관련 세포와 항체
1) 림프구(lymphocyte)
2) 항체의 종류 및 작용
4. 면역반응의 기전
1)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anaphylactic hyper sensitivity)
2) 항체의존세포 독성과민반응
3) 면역복합체 반응
4) 세포매개 과민방응
5. 이식거부반응
1) 일반조직 이식거부
6. 장기이식
1) 신장이식
2) 사체 장기이식
7. 골수이식
1) 이식편 대 숙주병(GVHD)
2) 골수은행
8. 자가면역질환
1) 면역내성
2) 자가면역질환의 일반적인 현상
9. 면역결핍증후군(IDS)
1) 선청성 면역결핍증루군(CIDS)
2)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AIDS)
3)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의 임상양상
10. 아밀로이드증
1) 1차 아밀로이드증
2) 2차 아밀로이드증

6장 신생물(종양)

1. 종양의 기원, 성질 및 원인
1) 종양의 기원과 명칭
2) 종양의 특성
3) 종양의 성장 형태
4) 종양의 악성도와 병기
5) 종양의 원인
6) 종양-숙주 상호작용
7) 종양세포 성장의 역학
2. 상피성 종양
1) 양성 상피성 종양
2) 악성 상피성 종양
3. 비상피성 종양
1) 섬유조직의 종양
2) 지방조직의 종양
3) 연골 및 뼈에 발생하는 종양
4) 근육의 종양
5) 혈관종(hemangioma)
6) 신경-외배엽에 유래되는 종양
7) 조혈장기 및 림프성 조직에 유래되는 종양
8) 혼합 종양(mixed tumor)
9) 기형종 및 융모암종

7장 유전성 질환

1. 염생체 이상으로 인한 질환
1) 염색체(chromosome)
2) 유전의 과정
3) 상염색체(autosome)
4) 성염색체(sex chromosome)
2. 유전자의 이상에 의한 질환
1) 선천적 유전자 이상
2) 단일 유전자의 이상
3) 다인자성 유전 질환

8장 감염성 질환

1. 감염병 발생의 기본 인자
1) 병인적 요인(agent factors)
2) 숙주적 요인(host factors)
3)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factors)
2. 감염증의 분류
1) 형태학적 분류
2) 원인균에 의한 분류
3. 감염병의 예방
1) 병원체에 대한 대책
2) 환경에 대한 대책
3) 숙주의 감수성에 대한 대책
4. 급성 세균성 감염
1) 카타르성 염증
2) 위막성 감염
3) 화농성 감염
4) 혈류에의 침입
5) 세균감염(bacterial infection)
5. 감염성 육아종
1) 결핵(tuberculosis)
2) 한센병(나병, leprosy)
3) 매독(sypilisis)
6. 리케치아, 클라미디아 및 바이러스 질환
1) 리케치아 질환
2) 바이러스 질환
7. 진균 질환
1) 심부 진균증
2) 표재성 진균증
8. 원충 질환
1) 아메바증
2) 말라리아
9. 기생충 질환
1) 기생충의 종류
2) 기생충의 병인 작용

9장 노화와 노인성 질환

1. 노화
1) 노화의 정의
2) 노화의 초기 증상
3) 기능의 쇠퇴
4) 노화의 가설
5) 노화의 원인
6) 노화의 특징
2. 노인성 질환
1) 동맥경화증
2) 고혈압(hypertension)
3) 알츠하이머병
4) 혈관성 치매
5) 피크병
6) 크로이츠펠트-야콥병
7) 파기슨병
8) 골다공증
9) 당뇨병

10장 환경 병리학

1. 기계적 외상
1) 손상의 종류
2. 열에 의한 손상
1) 화상
2) 이상기온에 의한 건강장애
3) 동상
4) 냉방병
5) 참호족, 참수족, 동창
6) 욕창
3. 전기에 의한 손상
4. 이상 기압에 의한 건강장애
1) 고압 환경과 건강장애
2) 잠함병과 치료
3) 저산소 환경과 건강장애
5. 소음과 진동
1) 소음에 의한 청력장애
2) 진동에 의한 장애
6. 방사선에 의한 손상
1) 벙서손애 의한 주요 장기의 장애
7. 화학적 손상
1) 화학물질
2) 독성물질의 작용

본문내용

1. 병리학의 영역

* 병리학(pathology)란?

-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로, 특히 병을 일으킨 원인 또는 병에 의한 신체의 조    직이나 기관의 형태적·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의 원인, 발생, 경과 등을 연구하는 학    문으로 넓은 의미로는 생물체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이상(병, disease) 및 기형(anomaly)을 대상으    로 한다. 좁은 의미로는 병변의 형태를 규명하고, 병태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분명히 하여 치료    와 예방을 담당하는 기초의학의 한 분야

- 세포, 조직, 기관 등의 상태나 기능의 변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

- 질병이 발생할 때 : 생활 과정의 이상(abnomality)상태로 신체의 구조 및 기능의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 장기의 기능과 변화는 여러 가지 임상검사, 환자가 직접 느끼고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 의료인이    감지하는 객관적 징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병리학의 분류

* 병리학(pathology)

* 인체병리학(human pathology)

* 실험병리학(experimental pathology)

* 임상병리학(clinical pathology)

* 해부병리학(anatomic pathology)

* 외과병리학(sugical pathology)

 

3. 질병관의 변천

 1) 액체병리학설(humoral pathology)

 2) 고체병리학설(solidary pathology)

  - 아스클레피아데스

 3) 장기병리학설(organ pathology)

  - 모르가니 : 700건 사체 해부로 장기병리학설 주장

* 장기 병리학설 : 병소(질병에 따라 특정한 장기나 조직에 일정한 자리)가 형되는 것 때문에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4) 조직병리학설(histopathology)

 5) 혈액병리학설(hematopathology)

  - 로키탄스키가 혈액병리학설을 주장

 6) 세포병리학설(cellular pathology)

  - 피르호

 

4. 전자현미경의 발달

 

5. 임상검사로서의 병리학

1) 생검(biopsy)

: 환자의 병소 부분을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육안 및 현미경에 의해 병리조직학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다.

* 방법 : 체표면에 가까운 병소일 때는 절개(incision)

 

구매후기

    구매후기가 없습니다.
저작권안내
dim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