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참고사항]
- 간호과정 하나를 알차게 정리한 자료입니다.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담았으며, 내려진 간호진단에 알맞은 내용이에요.
- 간호진단 '과도한 불안(Excessive Anxiety)'은 과거에 사용된 '불안(Anxiety)'과 같은 간호진단이며, 현재기준 업데이트 된 NANDA 간호진단 리스트에서 원래의 '불안' 간호진단은 삭제되었고 '과도한 불안'으로 변경되어 이 기준으로 작성된 간호과정입니다 :)
[소개글]
『알코올 의존증(Alcohol dependence): 과도한 불안(Excessive Anxiety)』 간호과정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여러 간호과정을 업로드하였는데 많은 분들의 문의와 리뷰, 피드백을 반영하여 저의 노하우를 가득 담아 제대로 만들어보았습니다!
과도한 불안은 알코올 의존증에서 금단 증상이 있는 대상자에게 거의 대부분 내려지는 간호진단이에요.
일반적인 불안 간호과정이 아닌 알코올 의존증의 금단 증상 특성과 관련하여 핵심을 잘 짚은 내용으로,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이론적 근거 등 주제와 잘 관련하여 정리하였습니다.
각 간호과정마다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을 모두 구분해서 포함했고요,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모든 부분을 세세히 살펴 모두 다 알차게 작성되었습니다.
특히 이론적근거 정말 논리적으로 잘 되어있고 간호수행도 자세하고 구체적입니다.
책과 논문 등 직접 참고 자료를 찾아가며 제가 정말 열심히 정성들여 작성한 간호과정입니다.
분명히 도움 됩니다. 꼭 A+받으세요 :) 감사합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5. 이론적 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참고자료]
기본간호학 1, 2(2018). 현문사. 양선희 외
성인간호학 1, 2(2017). 퍼시픽북스. 고자경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15).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
NANDA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2020).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미정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2019). 계축문화사. 박금주 외
최신 NANDA 간호진단 원서;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24–2026 (13th Edition.). NANDA International. Thieme Medical Publishers
대한간학회 알코올 간질환 진료가이드라인(2013). 대한간학회.
논문: 『음주 진료 지침』(2021). 대한가정의학회지. vol.11, no.1, p.14-21. 정진규 외
논문: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진전섬망과 금단증상의 연관성』(2014). 대한노인정신의학회. vol.18, no.2, p.98-103. 임지섭 외
논문: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과 대처방안』(2023). 대한사회정신의학회. vol.28, no.1, p.9-15. 김은도 외
약학정보원: https://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