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HE): 급성혼돈(Acute confusion)』 간호과정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여러 간호과정을 업로드하였는데 많은 분들의 문의와 리뷰, 피드백을 반영하여 저의 노하우를 가득 담아 제대로 만들어보았습니다!
급성혼돈은 간성뇌증 대상자에게 정말 자주 내려지는 간호진단이에요.
일반적인 급성혼돈 간호과정이 아닌 간경변과 간성뇌증 특성과 관련하여 핵심을 잘 짚은 내용으로,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이론적 근거 등 주제와 잘 관련하여 정리하였습니다.
각 간호과정마다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을 모두 구분해서 포함했고요,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모든 부분을 세세히 살펴 모두 다 알차게 작성되었습니다.
특히 이론적근거 정말 논리적으로 잘 되어있고 간호수행도 lab수치 포함 등 자세하고 구체적입니다.
책과 논문 등 직접 참고 자료를 찾아가며 제가 정말 열심히 정성들여 작성한 간호과정입니다.
분명히 도움 됩니다. 꼭 A+받으세요 ^^ 감사합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5. 이론적 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참고자료]
기본간호학 1, 2 (2018). 현문사. 양선희 외
성인간호학 1, 2 (2017). 퍼시픽북스. 고자경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2015).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
NANDA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 (2020).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미정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2019). 계축문화사. 박금주 외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2018). 학지사메디컬. Herdman 외
최신 NANDA 간호진단 원서;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24–2026 (13th Edition.). NANDA International. Thieme Medical Publishers
2019년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정맥류, 간성뇌증 및 관련 합병증. 대한간학회(2019)
논문: 『간성뇌증과 연관이 있는 생화학적 단백질-칼로리 영양 평가지표』(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0, no.6, p.650-655. 조세현 외
논문: 『간성뇌증』(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1, p.27-36. 김창욱
논문: 『간성 뇌증의 치료로서 Rifaximin(Normix) 단기간 투여의 효능과 안전성』(2001). 대한간학회지, vol.7, no.1, p.55-60. 김명환 외
논문: 『복수와 간성뇌증의 치료』(2019). 간질환 연수강좌, vol.2019, no.1, p.65-73. 송도선
논문: 『간경변증 환자의 재입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p.111-120. 윤미림 외
약학정보원: https://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