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 Prostate, carcinoma(Prostatic cancer)
Ⅱ. 대상자 소개
1. 개인력
2. 건강력
Ⅲ. 간호 과정
1. 간호력
2. 진단검사
3. 임상 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Ⅳ. 결론
1. 사례 요약
2. 실습 후기
3.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Prostate, carcinoma(Prostatic cancer)
#병태생리
- 전립샘암의 95% 선암: 전립샘의 상피세포나 후엽이나 전립샘의 가장자리에서 발생
- 두 가지 형태: ① 잠복적으로 서서히 성장하는 것 ② 공격적이고 빨리 성장하는 형태
- 매우 서서히 진행되는 암 중 하나
- 주로 전이되는 부위: 전립샘 주이의 림프절, 골수, 골반 뼈, 천골과 척추 등
- 분류 방법: 임상적인 진행단계에 의해 A-B-C-D로 분류
* A 기: 일반 진단검사로는 전립선암이 발견되지 않고 전립선비대증으로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거나, 또는 혈청 PSA수치가 단순히 증가되어 전립선 생검으로 전립선암이 발견된 상태로서 전립선 내에만 국한된 전립선암.
* B 기: 직장수지검사로서 종양이 촉진되며, 전립선 밖으로는 암이 퍼지지 않은 전립선암.
* C 기: 전립선암이 전립선피막을 넘어 전립선 주위조직으로 퍼진 상태로서 정낭이나 방광 등에 전이된 전립선암.
* D 기: 전립선암세포가 골반림프절 등이나, 뼈, 폐 등 신체의 다른 장기로 원격 전이된 전립선암.
#진단검사
- 전립샘암의 초기에는 불규칙적인 종괴가 만져진다. BPH와 전립샘암은 촉진으로 감별하기 어려우므로 확진을 위해 전립샘 생검을 실시한다.
- 가장 효과적인 방법: 직장수지검사(DRE), 전립샘특이항원 검사(PSA)
① 직장수지검사
: 전립샘암의 고위험 남성은 좀 더 젊은 나이에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
② 임상검사
: 전혈구검사(CBC), 혈액화학검사, 신기능검사(BUN, creatinine) 및 간기능검사 등으로 방광 폐쇄, 전립샘 폐쇄 및 간이나 골수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한다.
: 전립샘 특이항원(PSA)은 전립샘에서만 유일하게 생산되는 당단백질 면역물질이다. PSA의 정상수치는 4.0ng/mL 이하이다. 전립샘의 신체검진 후 PSA 검사를 시행한다. 전립샘암 대상자의 25%정도는 PSA검사에서 4ng/mL 이하이다.
-> 전립샘 절제 후 PSA수치 상승: 질병의 재발 암시
참고 자료
약학사전,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list.nhn?cid=51007&categoryId=51007&mobile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간호학대사전,대한간호학회,
http://terms.naver.com/list.nhn?cid=55558&categoryId=55558
조경숙 외, 『제6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3
조경숙 외, 『제6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3.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상, 수문사. 2015. /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2하, 수문사. 2016.
배상인 외, 예방적 항생제 사용 중에 발생한 요로감염: 단일 병원에서 경험한 임상연구, 2010, 14권2호
유정희, 박영임, 집중적 감염관리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환자의 요로감염 정도에 미치는 효과, 병원간호사회<임상간호연구>, 2004, 9권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