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인지-지각 양상(Cognitive-perceptual pattern)
    ① 의식수준: ___________alert__________________
    ②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 있음
 
    ③ 행동, 반응의 적절성(무반응, 혼동, 기억력 장애 등): 있지만 반응이 느리시다
    ④ 감각장애:
       •시각(정상, 안경, 콘택트렌즈, 근시, 원시, 노안, 좌우 시력, 통증, 분비물, 백               내장, 눈부심, 안구건조 등): 노화로인한 원시
       •청각(정상, 보청기, 분비물, 통증, 이명 등): 정상
       •미각(정상,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떫은맛 등): 정상
       •후각(정상, 후각장애 등): 정상
       •촉각(온도감각, 통증감각, 표재성 감각 등): 팔과 손, 발의 온도가 낮았다
 
    ⑤ 언어(눌어증, 실어증, 언어장애 등): X
    ⑥ 이해력 및 해독력(정상, 읽기/쓰기의 적절성, 교육수준, 학습저해 요인 등): 정상
    ⑦ 의사소통/상호작용 능력(기관절개술, 낱말카드, 인공후두, 대체방법 등): 원만
    ⑧ 불편감/통증(유무, 급성, 만성, 부위, 정도, 양상, 통증관리 등): X
    ⑨ 현재 정서 상태(우울, 불안, 흥분, 공포, 초초, 긴장 등): 불안
    ⑩ 불안 수준(정상, 약간, 보통, 심함, 공황 등): 약간
    ⑪ 질병/검사/수술에 관한 지각 및 지식: 자신의 상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음
    ⑫ 질병과 치료에 관한 기대 혹은 잘못된 인식: X
 
   7) 자아인식-자아개념 양상(Self perception-self concept pattern)
    ① 자아개념(협조적, 반항적, 방어적, 예민함, 대화 시 외면 등): 협조적
    ② 신체상(외모, 흉터, 신체장애, 질병/수술의 영향 등): 이상 없음
    ③ 사회화(타인과의 관계, 건강요원의 관찰, 보호자의 견해, 주위사람들의 표현 등):알수 없음 
    ④ 자신에 대한 의미(아플 때 자신에 대한 느낌, 절망감의 표현, 비언어적 단서 등): 절망감의         표현은 없었지만 질병에 대한 불안감은 있었음.
    ⑤ 자신의 장점/단점: 알 수 없음
 
    ⑥ 현재의 관심사/목표: 알 수 없음
 
   8) 역할-관계 양상(Role-relationship pattern)
    ① 가족생활(구성원의 연령 및 건강상태, 교육수준, 직업, 장애인, 주 수입원 등): 아내와 같이         살고 있고 아들이 2명 있음
    ② 사회생활(고용상태, 직업, 취미생활 등): 집에서 쉬심  
    ③ 결혼생활/가정생활의 문제(누구에게 어떤 문제, 육아문제, 자녀문제, 친척/시댁/ 처가 와의          관계 등): 좋아 보임 
    ④ 가장 도움이 되는 사람(배우자, 이웃, 친구, 동거인, 친척 등 관계와 연락처):부인과 아들
   ⑤ 가족간의 문제해결 방법: 알수없음
⑥ 가족내 주요 의사결정자: 아내
⑦ 질병으로 인한 역할/관계 변화(타인과의 관계, 가족내 역할, 사회적 관계 등):
 질병으로 인해 가족외에는 거의 만남이 없으심
⑧ 학대(노인학대, 아동학대, 신체적/언어적/물질적 학대 등): X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