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공중보건학(公衆保建學)
 1)정의: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해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과 과학 (Winslow.)
   ⦁의학,위생공학,질병관리학,보건관리학등을 지역사회에 응용하는 학문=포괄보건의료과학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
     환경위생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을 위한 의료 및 간호서비스의 조직화
     모든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받도록 하는 사회제도 발전
 2)범위
   ①역학 및 질병관리-역학,전염병관리,기생출질환,비전염성질환관리→질병발생원인과 과정
   ②환경보건-환경위생,환경오염,식품위생,산업보건→환경요인에 대한 과학적조치
   ③보건관리-보건교육,보건행정,보건통계,보건영양,정신보건,보건정보
 3)배경
  *물적토대+사상적뒷받침⇒국가개입가능*
  (1)공중보건과 국가개입의 필요성
    ①시장기능의 실패
    ②건강의 총체적 특성(Holistic Nature of Health)
     :많은 종류의 활동이 건강과 연결됨☞보건의료;잠재적유효성↑→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하여 장기적으로 건강한 삶과 사회할동을 함으로써 개인이나 사회에 가져다주는 
      장기적인효과
    ③다차원적 필요(Multidimension of Needs)
     :건강은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물리적,문화적,개인적 요인에 의해 영향
      ☞건강유지와 보호,질환회복에 필요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의 역할에 중점
    ④건강권의 대두(health as a Human Right)
     ⦁산업화시대:경제발전에 초점, 건강은 개인의 문제라 여김
     ⦁경제성장후:경제성장후 관심을 복지쪽으로 전환-부의 축적으로 ‘인간다운삶’에 초점 
                                                                  ↳소득보장,의료보장
              but,의료기술발달,의료요구분출에 따른 의료비상승→개인이 부담하기엔 한계
                      ⇒국가의 개입
     *cf)보건의료서비스-수혜의 개념이 아닌 국민의 생존권적 기본권의 하나로 대두.
                        국가에 대하여 건강한 생활을 침해하지 않도록 요구(소극적권리)
                        건강을 유지하도록 국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요구 (적극적권리)
   (2)국가개입에 대한 사회사상적 접근
      ①고대와 중세
       ⦁고대:공동생활체-상부상조정신, 국가개입 전 자선적 구제사상
       ⦁로마: 기독교 국교 후 교회에 위임-질병=신벌설;경멸의 대상
       ⦁중세봉건주의:분권적 정치행태- 국가개입 미미
       ⦁중세르네상스:인본주의,자연과학,종교개형게 의해 변화시작-절대군주제 등장
                      중앙집권적권력☞국민생활통제,보건의료분야에 국가개입
                                                 ↳의료면허공중보건명문화구빈법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