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치료와 간호
1) 호흡기계 관리
- 의식저하 및 연하곤란으로 인한 흡인성 폐렴을 사정하고 필요시에는 위내용물 제거를 위해 비위관을 장치한다.
- 기도폐색, 부동, 과소환기 등으로 인한 흡인, 무기폐, 폐렴이 있는지 관찰한다.
- 기도 개방유지, 산소공급, 그리고 기관지 분비물을 자주 제거해주고 흡인되지 않도록 고개를 옆으로 돌려 준다.
2) 신경계 관리
- 뇌졸중의 손상 정도, 두개내압 상승, 뇌혈관 경련 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신경학적 상태를 관찰한다.
- 침상머리를 30°정도 올려주고, 머리에서 정맥 배액을 촉진하기 위해 머리를 똑바로 하고 중립을 유지한다.
- 국소적인 신경계 결손이 있거나 뇌부종이 있는 경우 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3) 심혈관계 관리
- 소변정체 시 과도한 수분을 제공하면 순환혈관에 과부담이 되고 뇌부종이나 두개내압 상응으로 이어지며, 탈수는 뇌졸중 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섭취량과 배설량을 세심하게 관리한다.
- 뇌졸중 발생 후 약하거나 마비된 사지는 대상자를 운동시켜 혈전성 정맥염을 방지한다.
4) 피부 관리
- 체위변경, 특수침대 사용, 압박 부위 완화를 위한 쿠션을 이용하여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5) 소화기계 관리
- 음식과 수분을 구강으로 섭취할 때 흡인, 구토, 질식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첫 24-48시간은 금식을 시킨다.
- 처음으로 경구로 음식을 제공할 때는 설압자로 인두의 뒤편을 자극해서 구역반사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반사가 없는 사람은 금식하고 연하를 자극하는 운동을 시작한다.
6) 요로계 관리
- 유치도뇨관은 요로감염 및 방광재훈련이 늦어지므로 피하고 필요시에는 간헐적 도뇨를 시행한다.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