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상세 | 널스스토리
[학습자료] [병리학노트] 이식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해당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운로드 후 해당문서의 모든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자료는 전체 6페이지1페이지의 미리보기를 지원합니다.
다운로드 후 해당문서의 모든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lose prev next
문서내용

소개글

제가 간략하게 정리한 병리학 노트입니다.

본문내용

2. 자가면역 질환

- Self를 non-self로 인식
Ex) 하시모토씨 갑상선염 - 처음으로 발견된 자가면역질환 > 단일 장기 자가면역질환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전신성 홍반성 낭창 (SLE) - 1gG >
- 류마티스성 관절염 IgG, M > 전심성 자가면역질환
- 자가면역성 용혈성빈혈 >


2) 자가면역질환의 일반적인 현상
- 혈장 r - 글로불린 농도는 1.5g / d1 (정상농도의 상한) 이상이다.
- 자가항체를 인정할 수 있다.
- 코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치료가 효과적이다.

구매후기

(0 건의 후기가 등록되었습니다.)

  • 카테고리
    학습자료
    조회
    459
  • 등록날짜
    2013.05.11
    파일형식
    한글
  • 페이지수
    2페이지
    가격
    300원
최근 본 자료

판매자정보 35유상 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