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e 자료] DM foot, 당뇨족, 당뇨발 케이스
I.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ICU를 실습하면서 중증 환자분들을 뵙게 되었는데 DM foot이라는 질환을 앓고 계신 환자를 보게 되었다. 처음에는 당뇨병 환자의 발 간호에 대해 가볍게 여겼지만 DM foot(당뇨병성 족부병변)이라는 질환에 대해 조사를 하고 실제로 보면서 의학이 발달한 현재까지도 신체를 온전히 보호하며 기능을 원활히 살릴 수 있는 의학 기술 없이 Tissue remove(조직 제거)나 Debr…
-
[Case 자료] 간염 케이스
Ⅰ. 서론필자는 소화기내과 병동에 소화기계 쪽이나, 간, 담도계쪽에 질환이 있으신 분들과, 검사를 위해 입원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 중 hepatitis의 진단을 받으신 ***님의 case를 발표하고자 한다. Ⅱ. 본론1. 문헌고찰1) 간의 구조 및 기능(1) 간의 구조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선(gland)으로 정상 성인의 간의 무게는 1,500g이며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있고 위(stomach)를 덮고 있다.간…
-
[Case 자료] 경막하출혈 케이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필자는 NS병동에서 실습을 하면서 ICH 환자를 보게되었다. 환자에게 좀 더 도움이 되고자하여 ICH에 대해 자세히 알고, 환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정확히 파악한 후, 환자의 간호과정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ASH(급성 경막하 출혈) 문헌고찰 1) 정의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의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
[Case 자료] 기흉 케이스
1. 기흉 ● 기흉이란 장측 혹은 흉막의 손상으로 인하여 폐와 흉막의 손상으로 인하여 폐와 흉벽 사이의 흉막강 안에 공기가 축적되어 흉막 내압이 상승하고 폐의 허탈 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흉은 개방성 또는 폐쇄성으로 올 수 있다● 기흉은 둔상과 혈흉을 동반하기도 한다(혈기흉: homopnemothorx)● 흉막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 실질조직이나 기관, 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일어난다.&n…
-
[Case 자료] 담낭염 케이스
1. 담낭의 구조 -동의어=쓸개(gall bladder)-담낭은 7~10cm 정도로 서양배 모양의 기관-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담낭에서 나온 담낭관은 간의 간담관과 합쳐져 총담관을 이룸-총담관의 담즙은 Oddi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이 괄약근이 수축하거나 이완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